안녕하세요, 알쏭달쏭이야기입니다.
최근 친구들과의 대화에서
“우리나라에 선거가 몇 가지나 돼?”라는 질문을 받았는데,
막상 정확히 답하기가 어렵더라고요.
대통령 선거, 국회의원 선거, 지방선거 등은 익숙하지만,
교육감이나 재보궐선거는 뉴스에서만 얼핏 듣고 넘겼던 것 같아요.
특히, 2025년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결정 이후
조기 대선이 6월 3일로 확정되면서
각 정당에서는 대선 후보를 뽑기 위한 경선이 한창입니다.
이런 기회에 대한민국 선거 제도를
한번 제대로 정리해보는 건 어떨까요?
1. 우리나라 선거의 종류
대통령 선거(대선)
5년에 한 번, 중임 불가. 국가 원수를 뽑는 가장 중요한 선거!
국회의원 선거 (총선)
4년에 한 번. 지역구+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뽑아요.
지방선거
광역·기초단체장(도지사, 시장, 군수)과 지방의원 등을 선출.
교육감 선거
시·도 교육을 책임지는 수장을 뽑는 선거. 학부모들 관심 많죠.
재·보궐선거
의원이나 단체장이 임기 중 사퇴·사망할 경우 공석을 채우는 선거입니다.
2. 각 선거별 시기와 주기
대통령 선거: 5년 / 다음: 2025년 6월 3일 (확정)
국회의원 선거: 4년 / 다음: 2028년 4월 예정
지방선거: 4년 / 다음: 2026년 6월 예정
교육감 선거: 지방선거와 동시에
재·보궐선거: 필요 시 수시로 실시
지금까지 우리나라 선거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.
막상 투표가 다가오면
"이거 무슨 선거지?" 하고 헷갈릴 때가 많은데요,
이번 글을 통해 조금이라도 정리가 되셨길 바랍니다.
다음에 투표용지를 받았을 때
"이건 대통령 선거, 이건 정당 투표구나!"
하고 자연스럽게 구분할 수 있다면,
그건 이 글 덕분일지도 몰라요!
📚 같이 읽으면 좋은 글
'알쏭달쏭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례대표는 왜 존재할까? 알아두면 쓸모 있는 선거 지식 (1) | 2025.04.22 |
---|---|
2025년 최신 부동산 정책 대출 총정리: 내집마련과 전세자금 마련을 위한 필수 가이드 (2) | 2025.03.20 |
미국 경제를 움직이는 FED, FRB, FOMC 완벽 정리! (0) | 2025.03.19 |
부부 부동산 명의 선택, 공동명의 vs 단독명의 무엇이 유리할까? (2) | 2025.03.18 |
분양권 전매, 프리미엄까지! 부동산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정보 (0) | 2025.03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