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알쏭달쏭 이야기

우리나라 선거의 종류와 시기 총정리

by 알쏭달쏭 이야기 2025. 4. 22.
728x90
반응형

안녕하세요, 알쏭달쏭이야기입니다.

최근 친구들과의 대화에서
“우리나라에 선거가 몇 가지나 돼?”라는 질문을 받았는데,
막상 정확히 답하기가 어렵더라고요.
대통령 선거, 국회의원 선거, 지방선거 등은 익숙하지만,
교육감이나 재보궐선거는 뉴스에서만 얼핏 듣고 넘겼던 것 같아요.

특히, 2025년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결정 이후
조기 대선이 6월 3일로 확정되면서
각 정당에서는 대선 후보를 뽑기 위한 경선이 한창입니다.

이런 기회에 대한민국 선거 제도를
한번 제대로 정리해보는 건 어떨까요?




1. 우리나라 선거의 종류


대통령 선거(대선)
5년에 한 번, 중임 불가. 국가 원수를 뽑는 가장 중요한 선거!

국회의원 선거 (총선)
4년에 한 번. 지역구+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뽑아요.

지방선거
광역·기초단체장(도지사, 시장, 군수)과 지방의원 등을 선출.

교육감 선거
시·도 교육을 책임지는 수장을 뽑는 선거. 학부모들 관심 많죠.

재·보궐선거
의원이나 단체장이 임기 중 사퇴·사망할 경우 공석을 채우는 선거입니다.




2. 각 선거별 시기와 주기


대통령 선거: 5년 / 다음: 2025년 6월 3일 (확정)

국회의원 선거: 4년 / 다음: 2028년 4월 예정

지방선거: 4년 / 다음: 2026년 6월 예정

교육감 선거: 지방선거와 동시에

재·보궐선거: 필요 시 수시로 실시





지금까지 우리나라 선거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.

막상 투표가 다가오면
"이거 무슨 선거지?" 하고 헷갈릴 때가 많은데요,
이번 글을 통해 조금이라도 정리가 되셨길 바랍니다.

다음에 투표용지를 받았을 때
"이건 대통령 선거, 이건 정당 투표구나!"
하고 자연스럽게 구분할 수 있다면,
그건 이 글 덕분일지도 몰라요!




📚 같이 읽으면 좋은 글

비례대표는 왜 존재할까? 알아두면 쓸모 있는 선거 지식

728x90
반응형